서론
[어기조사 - 서론]
[성조 1] [성조 2] [성조 3] [성조 4] [성조 5]
[아 aa] [오 wo]
[하 haa] [호 ho]
[마 maa] [메 me]
[라 laa] [네/레 ne/le] [로 lo]
[게 ge] [가 gaa] [과 gwaa]
[짜 zaa] [쩨 ze]
[팀 tim] [보 bo]
중국어에서는 같은 말이다.
(정확히 얘기하면 구분은 있지만 사용에 차이는 없다고 볼 수 있다)
광둥어의 어조사의 한자는 지역마다 다르다.
본 블로그에서 사용하는 한자는 홍콩어을 기준으로 하며, 홍콩중문대학과 연구 논문을 기반으로 한다.
현지인도 한자를 구분해서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말할 때 발음은 구분해서 사용된다.
광둥어를 배우는 사람은
한자를 몰라도 듣고 뜻을 맞추는 연습이 필요하다.
한국어도 밥 먹었어
vs 밥 먹었어?
의 성조 차이가 있다.
결국 말투의 음변화는 감정이나 표현의 차이가 있다.
6 성조
6성조의 어기조사 2개가 있지만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해당 한자
- 𠻺 aa6
𠻺嗎 aa6 maa5 - 下 haa6
下哇 haa6 waa5
동의하지 않고, 서술하는 내용이 맞는 것 아닌가 반문
예시.
dak1 得 된다
sik6 食 먹다
jau5 zou6 有做 했다
mou5 zou6 冇做 안했다
下哇 𠻺嗎 : 동의하지 않고, 서술하는 내용이 맞는 것 아닌가 반문
下哇 haa6 waa5
𠻺嗎 aa6 maa5
확실치는 않지만
아마 같은 어조사의 다른 발음이다.
뜻과 사용법이 완전히 같다.
佢得下哇? : (그게 아니라) 그는 되겠지
佢食𠻺嗎? : (그게 아니라) 그가 먹겠지
佢有做下哇? : (그게 아니라) 그는 했겠지
佢冇做𠻺嗎? : (그게 아니라) 그는 안 했겠지
下哇, 𠻺嗎 로만 사용되어서
각 1개 한자의 뜻이나 감정은 분석하기 어렵다.
下哇, 𠻺嗎 을 한개의 어기조사로 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한자가 두개이어서
이첩식이라고 했지만..
개인적 생각으론
원래는 한 글자이어야 하지만
발음 때문에 2 글자로 쓴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