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아 aa] [오 wo]
[하 haa] [호 ho]
[마 maa] [메 me]
[라 laa] [네/레 ne/le] [로 lo]
[게 ge] [가 gaa] [과 gwaa]
[짜 zaa] [쩨 ze]
[팀 tim] [보 bo]
중국어에서는 같은 말이다.
(정확히 얘기하면 구분은 있지만 사용에 차이는 없다고 볼 수 있다)
광둥어의 어조사의 한자는 지역마다 다르다.
본 블로그에서 사용하는 한자는 홍콩어을 기준으로 하며, 홍콩중문대학과 연구 논문을 기반으로 한다.
현지인도 한자를 구분해서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말할 때 발음은 구분해서 사용된다.
광둥어를 배우는 사람은
한자를 몰라도 듣고 뜻을 맞추는 연습이 필요하다.
한국어도밥 먹었어
밥 먹었어?
의 성조 차이가 있다.
결국 말투의 음변화는
감정이나 표현의 차이가 있다.
1 성조
어기조사 1 성조는 대부분 '서술'이다.
한자 자체의 뜻을 사용하고,
문장의 내용을 얘기하는 것이다.
해당 한자
- 吖 aa1 : 일반 서술, "祈使". 말투를 부드럽게한다
- 𠺢 gaa1 : 것 이다. 상태
- 啦 laa1 : 그렇게 되다. 상태 변화
- 呢 le1 : 그런 것이지만. 상태, 말을 흐린다
- 囖 lo1 : 그러지 뭐. 상태, 어쩔 수 없다
- 吒 zaa1 : 정도가 약하다
- 啫 ze1 : 정도가 약하고 결과에 영향이 없다
- 唧 zek1 : 의문, 캐묻는 질문. 애교조
- 咩 me1 : 의심
- 𠻹 tim1 : 정도가 예외이다
예시.
係 : 맞음
食 : (동사) 먹음
近 : (형용) 가까움
吖 aa1 : 일반 서술
係吖 [hai6 aa1] : 맞다
食吖 [sik6 aa1] : 먹어
近吖 [kan5 aa1] : 가까워
𠺢 gaa1 : 것 이다. 상태
係𠺢 [hai6 gaa1] : 맞는 것이다
食𠺢 [sik6 gaa1] : 먹는 것이다
近𠺢 [kan5 gaa1] : 가까운 것이다
啦 laa1 : 상태 변화
係啦 [hai6 laa1] : 맞다 (게 되었다) / 그래 그래 니 말이 맞아
食啦 [sik6 laa1] : 먹어라
近啦 [kan5 laa1] : 가까워 졌다
呢 le1 : 약조(弱調) 말을 흐린다
係呢 [hai6 le1] : 맞는데...
食呢 [sik6 le1] : 먹는데/먹을 건데
近呢 [kan5 le1] : 가까운데/가까워서
囖 lo1 : 어쩔 수 없는 상태
係囖 [hai6 lo1] : 그러니깐 내말이
食囖 [sik6 lo1] : 먹는 다니깐
近囖 [kan5 lo1] : (마다못해) 가깝지뭐
吒 zaa1 : 정도가 약하다
係吒 [hai6 zaa1] : 맞을 뿐이다
食吒 [sik6 zaa1] : 먹을 뿐이다
近吒 [kan5 zaa1] : 가까울 뿐이다 / 아주 가까워
啫 ze1 : 정도가 약해 결과에 영향이 없다
係啫 [hai6 ze1] : 맞은 것이지만
食啫 [sik6 ze1] : 먹을 뿐이지만
近啫 [kan5 ze1] : 가깝네
唧 zek1 : 캐묻는 질문. 애교조
係唧 [hai6 zek1] : ( ⨉ 사용불가 )
係咪唧? : 사실 진짜야?食唧 [sik6 zek1] : ( ⨉ 사용불가 )
係咪食唧?/要唔要食唧? : 진짜 먹을 거야?近唧 [kan5 zek1] : ( ⨉ 사용불가 )
係咪近唧? : 진짜 가까운거야?
咩 me1 : 의심
係咩? [hai6 me1] : 맞다고?
食咩? [sik6 me1] : 먹는 다고? / (대명사) 뭐 먹어?
近咩? [kan5 me1] : 가깝다고?
𠻹 tim1 : 정도가 예외임
係𠻹 [hai6 tim1] : ( 어색함 ) 맞기까지 함.
以為係𠻹 : 맞는 줄食𠻹 [sik6 tim1] : 먹기 까지 함
近𠻹 [kan5 tim1] : 가깝기까지 함
결론
1성의 어기조사는 일반적은 서술이다.
'祈使' 보통 "명령어"로 번역하는데,
명령, 요청, 건의, 경고, 금지 등...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수한 경우로
어기조사가 1개의 성조만 있는 경우,
서술이 아닌 별도 감정 표현인 경우가 있다.
- 啫 ze1 - 상관없음/애교
- 唧 zek1 - 애교
- 咩 me1 - 의심
- 𠻹 tim1 - 서술이지만 놀람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