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gKaeBi

광둥어 - 어기조사 서론

어기조사 어조사 어기사. 같은 말이다. 광둥어는 한어(漢語) 중에서 어조사가 제일 많은 것으로 유명하다.

광둥어 - 어기조사 서론

[질문형 종류]
[의문사 모음]
[선택 질문]



어조사 & 어기조사

어조사, 어기조사
중국어로는 語氣助詞 이기 때문에
어기조사가 맞는 표현이지만,
어조사와 다를 것은 없다.

한국에서는
한문이나 고문에 사용되는 것은 어조사.
현대 중국어에 사용되는 것은 어기조사...
라고 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중국에서 언어학적으로
어기조사(語氣助詞), 어조사(語助詞), 어기사(語氣詞)
3개로 쓰이며 같은 뜻이다.



어조사의 사용법

  1. 어조사는 직접적인 뜻을 가지고 있지 않는 다고 얘기한다.
  2. 어조사를 사용해서 문장에 대한 감정,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3. 어조사는 대부분 문장의 끝에 사용한다.

위의 3마디가 보통 공식적인 설명이다.

어조사를 사용하면 말의 뜻이 변하기 때문에
위에 대해서 완전히 동의하지 않는 사람도 좀 있다.

A : 得嗱? - 됐어?
B : 得喇 - 됐어
A : 得㗎咩? - 된다고?
B : 得哩 - 된다니깐



광둥어 어조사 수량

학자들이 연구 통계한 결과
광둥어의 어조사는 90개라고 한다.

고대 중문에 10개 정도고
현대 보통화에 20개 정도이다.

모든 한어언어 (漢語語言 : 한자를 사용하는 언어) 중에서
광둥어의 어조사가 제일 많다.

평소 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광둥어 어조사는 약 30개 정도이다.



二疊式 三疊式 四疊式

생활에서 30개 정도이지만
이첩식(二疊式), 삼첩식(三疊式) 등이 있다.
즉 어조사를 2, 3, 4개를 같이 사용한다.

이첩식의 경우 한 글자로 합치는 경우도 있다.
乜嘢로 합쳐서 얘기하는 것과 같다.
(咩가 '무엇'으로 사용될 때 어조사인지에 대해서는 좀 논쟁이 있다)



어조사 맛보기

"aa아" 도
성조에 따라서 다른 한자를 사용하고
성조에 따라서 다른 뜻이 된다.

吖aa1 - 명령/부탁
嗄aa2 - 일깨움(잊지 않게)
呀aa3 - 주관적 생각
𠵝aa4 - 의문, 반문
咓aa5 - 의문을 느낌
𠻺aa6 - "𠻺嗎"로 사용. 동의하지 않음

食飯吖 - 밥 먹으세요
記得食飯嗄 - 밥 챙겨 먹으세요
食飯呀 - 밥 먹을거에요
食飯𠵝? - 밥 먹으세요?
唔係食飯咓? - 밥 먹는 건 아니겠죠?
食飯𠻺嗎 - 그게 아니라 밥 먹자는 거겠지요

𠻺嗎는 이첩식이다.



주의. 한자 대체

요즘 위에 "aa"를 구분해서 사용하는 사람은 소수이다.
대부분 그냥 "啊"로 대체해서 사용한다.

문제는 위의 예시를 봐도 알겠지만,
어조사에 따라서 뜻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그래서 요즘은 문장만을 보고
광둥어의 뜻을 번역할 수 없어지고 있다.



주의. 발음 차이

광둥어 사전에서 를 찾아보면
사전마다 발음이 다르다.

<廣州話正音字典> - aa1 aa2 aa6
<粵語同音字典> - o1
<常用字廣州話讀音表> - aa1 aa2 aa3
<廣州話標準音字彙> - aa1 aa2
<粵語查音識字字典> - o1
<學生粵英詞典> - o3 o6

이유는
광둥어가 한 종류가 아니고
지역마다 발음의 차이가 있고
지역마다 사용하는 어조사도 다르다.

광저우와 홍콩은
같은 광둥어를 사용한다고 얘기하지만
실제로 들어보면 이 둘도 차이가 조금 있다.

하지만 다행이라고 할까?...
구조 자체는 거의 동일해서
본 블로그에서는 대부분 둘 다 같이 설명하고 있다.

블로그에서 얘기하는 어조사는
모두 홍콩 광둥어를 기준으로 할 것이다.



주의. 없는 한자

발음만 있고 한자가 없거나...
( lu3는 한자가 없어서 "嚕"로 대체해서 많이 사용한다 )

한자는 있으나 컴퓨터에서 입력이 안되는 어조사도 있다.
( "口添" 입력이 안됨으로 "添" 혹 "㖭"으로 사용한다 )



자주 사용되는 어조사

  1. 吖aa1 : 서술. 긍정
  2. 嗄aa2 : 잊은 것을 일깨움
  3. 呀aa3 : 주관적인 생각
  4. 𠵝aa4 : 반문
  5. 咓aa5 : 의문을 느낌. 조금 의심
  6. 啦laa1 : 서술. 긍정
  7. 喇laa3 : 완료됨
  8. 嗱laa4 : 질문
  9. 喎wo3 : 그렇구나
  10. 啝wo4 : 그렇다고 한다. 암시 부정
  11. 囖lo1 : 그렇다
  12. 囉lo4 : 긍정. 그렇게 되었다
  13. 咩me1 : 의문. 의심.
  14. 啩gwaa3 : 인 듯. 확신이 없음
  15. 嘅ge3 : 강조
  16. 𠸏ge2 : 마지 못함
  17. 𠿪gaa2 : 예상하지 않은 결과
  18. 㗎gaa3 : 강조
  19. 嘎gaa4 : 반문
  20. 嚕lu3 : 가변게 완료
  21. 嘞laak3 : 감탄 완료
  22. 哩le5 : 자신의 생각을 유지함
  23. 噃bo3 : 일을 시킴. 긍정
  24. 啫ze1 : 그저
  25. 嘛maa3 : 명확한 일반적 도리
  26. 哇waa5 : 동의하지 않음
  27. 咋zaa3 : 그저
  28. 喳zaa4 : 예상보다 못함에 대한 경악
  29. 添tim1 : 예상 결과와 다른 결과임


성조가 중요

위에서 예시를 자세히보면
조금의 관계성을 알 수 있다.

성조에 따라서 나타내는 감정은
거의(다는 아니고) 비슷하다.

1성의 경우 서술으로 특정 감정은 없다.
오히려 그래서 1성인 어조사는 사용방법에 따라서 뜻도 달라진다.

2성은 "다시" 본문을 일깨우는 감정이 있다.
記得食飯嗄 - 밥 챙겨먹는 걸 기억하세요
記得食飯𠸏 - 밥 먹는 것은 기억하고 있어지만...
唔係唔想記得食飯𠿪 - 밥 먹는 것을 나도 잊을려고 한게 아니라고요

3성은 주관적. 명령
4성은 의문
5성은 가벼운 의심
6성은 동의하지 않음

이처럼 구분할 수 있다.



운모(韻母)가 중요

운모에 따라서 뜻을 구분해 볼 수 있다.

운모가 없는 aa는 그냥 서술하는 문장 그 자체이며

L은 동작에 관련된 내용
W은 객관적(타인 얘기) "그런"에 관련된다.
g은 주관적(나의 얘기) "그런한"

이 처럼 운모 발음에 따라
특정한 뜻을 유추할수 있다.


TMI. 㗎

는 "嘅吖"의 줄임말이었다.
처럼 지금은 다른 글자 다른 한자로 인식한다.



결론

결론을 시작하기 전...

TMI. 사첩식 맞보기 - 㗎啦呀嘛

zou6 jyun4 gaa3 laa1 aa3 maa3 ?
做完㗎啦呀嘛?
다 한 것 아니겠어?

㗎啦呀嘛 - 반신반의로 확인을 요청

위의 N첩식으로 더 많은 뜻이 나올 수 있다.

하지만
현대 광둥어에서는
2첩식까지는 많이 사용하나
3첩식부터는 사용빈도가 낮다.


정리로

  1. 광둥어 어조사는 90개, 평소 30개 정도를 자주 사용
  2. 어조사에 따라서 문장의 감정과 뜻이 달라짐
  3. 중첩 어조사가 있음. 2첩식은 많이 사용. 이상은 적음
  4. 요즘은 성조만 다른 어조사는 같은 한자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
  5. 다른 어조사도 성조가 같으면 표현 감정이 비슷함
  6. 다른 어조사도 운모가 같으면 표현 뜻이 비슷함

4번이 성립되는 이유도 5, 6번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