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gKaeBi
광둥어에서의 중국어 3 de

광둥어에서의 중국어 3 de

중국어 的地得. 3de, 쓰리 더 문제에 대해서 질문하는 사람이 많다. 중국인도 많이 헷갈린다고 얘기하는데, 내 친구들 사이에서는 이게 헷갈리는 것이 이해할 수 없는 얘기이다.

중국 이야기

목차

  • 1. 시작하면서
  • 2. 的 vs 嘅
  • 2.1. 뜻1. 의
  • 2.2. 뜻2. 것이다
  • 3. 地 & 哋
  • 4.
  • 4.1. 동사+得+형용사
  • 4.2. 형용사+得 vs 到+결과
  • 5. 자주 틀리는 문장 비교
  • 6. 결론

관련 한자/단어

시작하면서

네이버 블로그에서
오랜만에 중국어 관련 내용을 작성했다.

톡방에서 的地得 의 질문으로 작성했다.

중국 사람들도 많이 틀린다고 하는데... 내 친구들과 나는
이게 왜 헷갈리는 이해하지 못한다.

그리고 몇몇을 작성하다가 생각이 들었다.
'혹시 광둥어의 사용법 때문에 헷갈리지 않는 것인가?'



的 vs 嘅

광둥어에서는
을 조사 사용하지 않는다.
해당 뜻으로 사용할 때는
모두 으로 사용한다.


뜻1. 의

"~의 ~이다"처럼
종속 관계를 나타내는 방식이다.

(普)我的杯 : 나의 컵
(粵)我嘅杯 : 나의 컵


뜻2. 것이다

성질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한국어의 "~적"과 사실 같지만,
사용법이나 느낌은 다르다.

(普)快的 : 빨른 것
(粵)快嘅 : 빨른 것

(普)丟的 : 버리는 것
(粵)dump 嘅 : 버리는 것



地 & 哋

광둥어에서는 구어체에서
를 붙이는 부사형태는
사용빈도가 매우 낮다.

하지만 사용한다면
보통화랑 완전히 같은 방식이다.

(普)快速地跑过 : 쾌속하게 달려 지나가다
(粵)快速地跑過 : 쾌속하게 달려 지나가다


광둥어는 오히려
快快哋 : 좀 빠르다
같은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말은 길어진다.

(粵)跑過都幾快快哋 : 달려 지나가는 것이 꽤나 빠르다

보는 것처럼 뜻은 아예 달라진다.



의 사용법도 기본 동일하다.
2가지(?) 사용법이 존재한다.


동사+得+형용사

(普)行得慢 : 걷는게 느리다
(粵)行得慢 : 걷는게 느리다

동사를 "~하게 하다"의 뜻이다.
뒤에 오는 형용사를 부사로 만든다.


형용사+得 vs 到+결과

이 방식은
광둥어에서 틀린 문법은 아니지만
구어체에서 대신 을 사용한다.

자체의 뜻이 "도달하다"이어서
이는 어떤 상태에 도달했다는 뜻이다.
그래서 같은 -"도달"로 사용된다.

(普)快得看不到 : 빨라서 못 봤다
(粵)快到睇唔到 : 빨라서 못 봤다

보통화의 경우,
필요할 때는 광둥어식인 을 사용한다.

(普)快到看不到 : 빨라서 못 봤다

앞뒤 문장이나 대화에서 를 사용하면
헷갈리거나 발음하기 어려울 때 사용된다.




자주 틀리는 문장 비교

잘 틀리는 문장을 예시를 비교해 보자.

(普)做的好 : 한 것이 좋다 (普)做得好 : 잘 했다

(粵)做嘅好* : 한 것이 좋다 (粵)做得好 : 잘 했다

우선 (普)做的好
문법으로 틀리지 않지만 혼란을 야기해서
평소 이렇게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粵)做嘅好 또한 어색한 문장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普)剧烈的运动 : 격렬한 운동
(普)剧烈地运动 : 결렬하게 운동하다

(粵)劇烈嘅运动 : 격렬한 운동
(粵)劇烈地运动 : 결렬하게 운동하다

광둥어는 발음이 다른 것 만으로
평소 인식이 달라서, 이게 틀리는 일이 없다.


(普)快得看不到 : 빨라서 못 봤다
(普)快的看不到 : 빨른 것은 못 봤다

(粵)快到睇唔到 : 빨라서 못 봤다
(粵)快嘅睇唔到 : 빨른 것은 못 봤다

이 또한 아예 둘 다 다르기 때문에
이를 다르게 오해하는 경우가 없다.

그리고
이 두 예시의 두번째는 말은 이상하고
평소에 사용하는 일이 없다.
정상적으로는 아래처럼 얘기한다.

(普)快的那个没看到 : 빨른 그 것은 보지 못했다
(粵)快嘅嗰個冇睇到 : 빨른 그 것은 보지 못했다




결론

광둥어에서도 的地得 의 문법은 있다.
보통화랑 다른점은
"的"가 아닌 를 사용한다.
보통화와 동일하게 형용사를 부사로 사용할 때 ,
하지만 결과 혹 정도를 나타내면 를 사용한다.

광둥어에서는

  • 嘅ge3
  • 地dei6
  • 得dak1
  • 到dou3

완전 다른 발음이다.

발음이 다르고
사용법도 확실히 구분되어서
광둥어에서 혼용하는 경우가 없는 것 아닐까 생각한다.


가설은 그저 가설일 뿐이다.

"的地得"가 헷갈린다고 하는게
이해가 안되는 것이
언어 환경 때문인지,
교육 환경 때문인지..
확실히 알 수는 없다.

요즘
중국 어문(語文:국어과목)에서는
"的地得" 질문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작문(作文)에서도
"的地得"를 잘 못 작성해도
감점되지 않는다고 한다.

단, HSK에서
아직도 的地得는 단골 질문이고...

사회에 나가서 문서를 작성할 때,
뜻이 달라지기 때문에
的地得를 잘 못 작성해도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