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둥어 긴급 - 병원
광둥어 병원 용어. 병원으로 가기, 건강 증상, 약 요청에 대한 용어들
광둥어목차
들어가면서
홍콩의 긴급전화는 999 이다.救
발음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경찰, 소방, 응급차 모두 여기서 부른다.
중국은 경찰 110 / 소방 119 / 응급 120
광둥은 광둥어로도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필요하면 영/일/한 으로 가능하다고 들었다.
醫院 병원
醫院
ji1 jyun2 : 병원
m4 goi1 heoi3 zeoi3 gan6 ge3 ji1 jyun2
음 꺼이 허이 쪼이 간 게 이 윈
唔該去最近嘅醫院
제일 가까운 병원으로 가주세요
fu6 gan6 jau5 mou5 ji1 jyun2 ?
f우 간 야우 모우 이 윈 ?
附近有冇醫院?
근처에 병원이 있나요?
m4 goi1 giu3 baak6 ce1
음 꺼이 끼우 박 체
唔該叫白車
구급차를 불려주세요
《긴급 - 도움 요청편》 참고.
唔舒服
bin1 dou6 m4 syu1 fuk6 ?
삔 도우 음 쉬 f옥 ?
邊度唔舒服?
어디가 불편하세요
hou2 m4 syu1 fuk6
호우 음 쉬 f옥
好唔舒服
매우 아프다 / 매우 불편하다
gok3 dak1 m4 syu1 fuk6
곡 닥 음 쉬 f옥
覺得唔舒服
편찮은 것 같다
唔舒服
m4 syu1 fuk6
"불편하다" 보다
"병들다", "몸이 아프다"
의 뜻으로 더 많이 사용된다.
暈 기절/어지러움
jau5 di1 wan4
야유 디 완
有啲暈
조금 어지럽다
jau5 tau4 wan4
야유 타우 완
有頭暈
머리가 어지럽다
暈
wan4
형용사로 사용하면 "어지럽다"
동사로 사용하면 "기절하다"이다.
jau5 jan4 wan4 zo2
야유 얀 완 조
有人暈咗
사람이 기절했다
gam1 zou2 tau4 wan4 , caa1 di1 wan4 dai1
깜 조우 타우 완 , 차 디 완 따이
今早頭暈,差啲暈低
오늘 아침에 어지러움 때문에 넘어질 뺀했다
燒 열
대부분發燒
faat3 siu1 : 열나다
의 조합으로 배우지만,燒
자체가 "열/열나다"의 뜻으로 사용된다.
gam1 jat6 faat3 siu1
깜 약 f앗 씨우
今日發燒
오늘 열이 난다
gam1 jat6 jau5 siu1
깜 약 야우 씨우
今日有燒
오늘 열이 있다
siu1 saam1 sap6 baat3 dou6
씨우 쌈 쌉 밧 도우
燒三十八度
열이 나서 38도이다. (38도 열이 나다)
咳 기침
jau5 kat1
야우 캇
有咳
기침을 한다
痰 가래
jau5 taam4
야우 탐
有痰
가래가 있다
嘔 토하다
au2 zo2 loeng5 ci3
아우 조 령 치
嘔咗兩次
토를 두번 했다
어떤 증상이 있다고 할 때,
동사의 앞에 作
을 붙이는 조합이 많다.作
을 붙이면 증상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作嘔
zok3 au2 : 구역질想嘔
soeng2 au2 : 토하고 싶다
屙 배설
대부분 屙
를 사용한다.痾
은 원래 "질병"의 뜻으로
일부 사람들이 대체로 사용하는 한자이다.
肚屙 설사
肚屙
tou5 o1 : 설사
jau5 tou5 o1
야우 토우 어
有肚屙
설사를 한다
다른 단어로屙爛屎
o1 laan6 si2 : 설사
속어로 친구들하고는 사용하지만,
의사한테 사용하는 단어는 아니다.
便秘 변비
便秘
bin6 bei3 : 변비
다른 단어로屙鎖鏈
o1 so2 lin2 : 변비
이 또한 속어/비유이어서
의사나 정식자리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痛 아프다
頭痛
tau4 tung3 : 두통肚痛
tou5 tung3 : 복통喉嚨痛
hau4 lung4 tung3 : 목/인후가 통증牙痛
ngaa4 tung3 : 치아, 입안 통증
抽筋 쥐나다, 경련
抽筋
cau1 gan1 : 쥐나다, 경련
zo2 goek3 cau1 gan1
조 격 차우 깐
左腳抽筋
왼쪽 발에 쥐나다
扭 접질리다
nau2 can1 jau6 sau2
나우 찬 야우 싸우
扭親右手
오른손을 접질렸다
扭
nau2 자체로 접질리다는 뜻이 있다.
扭傷
nau2 soeng1 : 접질린 부상扭親
nau2 can1 : 접질리다
동사/형용사에 親
을 붙이 방식으로
부정적이 영향을 받았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ex. 冷親 - 추워서 감기 걸리다
ex. 整親 - 다치다
속어로는
拗柴
aau2 caai4 : 접질리다
流血 출혈
sau2 zi2 lau4 hyut3
싸우 지 라우 휫
手指流血
손가락에서 피난다
生嘢 뭐(두드러기)가 나다
sau2 bei3 saang1 hou2 do1 je5
싸우 베이 쌍 호우 둬 예
手臂生好多嘢
팔에 두드러기가 많이 나다
난 증상의 명칭을 알면嘢
를 명칭으로 대체할 수 있다.
대부분 검사 받는 시점에서는
生嘢
saang1 je5 : 뭔가 나다生粒粒
saang1 nap1 nap1 : 오돌토돌하게 나다
같은 방식으로 많이들 얘기한다.
過敏 알레르기
대부분 아토피와 알레르기를
모두 過敏
이라고 하는 편이다.
아토피는 特應性
이라는 단어가 있지만,
전문용어로 일반인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외부의 과민체와 접촉 유무와 상관없이,
몸이 과민 반응을 일이킨다는 뜻으로過敏
을 사용한다.
이거 처방해주세요
"이거 주세요"와 같은 방식을 사용한다.
m4 goi1 bei2 ni1 zek3 joek6
음 꺼이 베이 니 젝 역
唔該畀呢隻藥
이 약을 주세요
ngo5 soeng2 jiu3 ni1 zek3 joek6
으어 셩 이유 니 젝 역
我想要呢隻藥
이 약을 받고 싶어요
ho2 m4 ho2 ji5 bei2 ni1 zek3 joek6 ?
허 음 허 이 베이 니 젝 역 ?
可唔可以畀呢隻藥?
이 약 주실수 있나요?
藥
joek6 : 약
ngo5 sik6 hoi1 ni1 zek3 joek6
으어 쌕 허이 니 젝 역
我食開呢隻藥
이 약은 쭉 먹던 약입니다
마치면서
救命 | gau3 meng6 | 까우 멩 | 살려주세요 |
醫院 | ji1 jyun2 | 이 윈 | 병원 |
唔舒服 | m4 syu1 fuk6 | 음 쉬 f옥 | 불편/아프다 |
暈 | wan4 | 완 | 어지럽다/기절 |
頭暈 | tau4 wan4 | 타우 완 | 현기증 |
咳 | kat1 | 캇 | 기침 |
痰 | taam4 | 탐 | 가래 |
燒 | siu1 | 씨우 | 열, 열나다 |
發燒 | faat3 siu1 | f앗 씨우 | 열나다 |
嘔 | au2 | 아우 | 토하다 |
作嘔 | zok3 au2 | 적 아우 | 구역질 |
想嘔 | soeng2 au2 | 셩 아우 | 토하고 싶다 |
肚屙 | tou5 o1 | 토우 어 | 설사 |
屙爛屎 | o1 laan6 si2 | 어 란 씨 | 설사 |
便秘 | bin6 bei3 | 빈 베이 | 변비 |
屙鎖鏈 | o1 so2 lin2 | 어 쏘 린 | 변비 |
頭痛 | tau4 tung3 | 타우 통 | 두통 |
肚痛 | tou5 tung3 | 토우 통 | 복통 |
喉嚨痛 | hau4 lung4 tung3 | 하우 롱 통 | 목/인후 통증 |
牙痛 | ngaa4 tung3 | 으아 통 | 치통 |
抽筋 | cau1 gan1 | 차우 깐 | 쥐나다, 경련 |
扭 | nau2 | 나우 | 접질리다 |
扭傷 | nau2 soeng1 | 나우 셩 | 접질린 부상 |
扭親 | nau2 can1 | 나우 찬 | 접질리다 |
拗柴 | aau2 caai4 | 아우 차이 | 접질리다 |
流血 | lau4 hyut3 | 라우 휫 | 출혈 |
生 | saang1 | 쌍 | 나다 |
生粒粒 | saang1 nap1 nap1 | 상 납 납 | 두드러기 나다 |
過敏 | gwo3 man5 | 궈 만 | 알레르기, 아토피 (반응) |
藥 | joek6 | 역 | 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