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gKaeBi
광둥어 긴급 - 구원요청

광둥어 긴급 - 구원요청

광둥어의 "살려주세요", "도와주세요". 중국과 홍콩의 긴급전화와 경찰수에 대한 TMI

광둥어

목차

  • 1. 들어가면서
  • 2. 救命 살리다
  • 3. 幫 돕다
  • 4. 叫 부르다
  • 5. 마치면서
  • 5.1. TMI. 경찰 비율
  • 5.2. TMI. 타지의 법

들어가면서

홍콩의 긴급전화는 999 이다.
발음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999는 긴급전화 센터로,
경찰, 소방, 응급차 모두 여기서 부른다.
9분이내 도착을 기준으로한다.
보통 이렇게 걸리지 않는 편이다.

중국은 경찰 110 / 소방 119 / 응급 120

광둥 지역에서는
광둥어로도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필요하면 영/일/한 으로 가능하다고 들었다.
하지만 중국에서 전화를 하게되면
보통화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救命 살리다

救命 gau3 meng6 : 살리다
한자 뜻대로 "구명"이다.

gau3 meng6 aa3 !
까우 맹 아 !
救命呀!
살려주세요!

보통 어기조사 와 사용한다.
요청이 되어서 "살려주세요"가 된다.

위급한 상황에서 살려다라는 뜻으로,
목적어와 주어가 없이 사용된다.
주어와 목적어가 없기 때문에
구함을 요청하는 사람과
구함을 당하는 사람이 특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인이 위급하거나
타인이 위급할 때,
근처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구난 요청을 하는 단어이다.




幫 돕다

《호텔 서비스 이용편》 에서
"도와 줄 수 있나요"를 사용했었다.

ho2 m4 ho2 ji5 bong1 ngo5 bun1 hang4 lei5 ?
허 음 허 이 뻥 으어 뿐 항 레이
可唔可以幫我搬行李?
짐 옮겨주실수 있나요?

bong1 : 돕다
단일 한자로 동사이다.

광둥어에서는
단일 한자를 잘 사용하지 않아서
보통 조합해서 사용한다.
幫幫 bong1 bong1 : 돕다
幫下 bong1 haa5 : 좀 돕다
幫手 bong1 : 도움

은 목적어가 있어야 한다.
도 어기조사를 사용해서
요청 어조를 만들어 사용한다.

bong1 bong1 ngo5 aa3
뻥 하 으어 아
幫幫我呀
저를 도와주세요

bong1 haa5 ngo5 aa3
뻥 하 으어 아
幫下我呀
저 좀 도와주세요

bong1 ngo5 sau2 aa3
뻥 으어 싸우 아
幫我手呀
저에게 도움을 주세요

bong1 haa5 sau2 aa3
뻥 하 싸우 아
幫下手呀
도움을 좀 주세요

幫手는 이합사(離合詞)으로
목적어는 중간에 배치한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손을 돕다"의 단어으로
도움이 필요한 "손"의 주어을 사용한다.
비슷한 단어로 幫忙-"바쁨/일을 돕다"가 있다.




叫 부르다

bong1 sau2 giu3 gau3 wu6 ce1
뻥 싸우 기우 까우 우 체
幫手叫救護車
구급차를 불려주세요

bong1 sau2 giu3 siu1 fong4
뻥 싸우 기우 씨우 f엉
幫手叫消防
소방차를 불려주세요

bong1 sau2 giu3 ging2 caat3
뻥 싸우 기우 씨우 갱 찻
幫手叫警察
경찰을 불려주세요

giu3 : 부르다
홍콩에서는
전화해 부르다-call로 많이 얘기한다.

당연히 급할 때는 앞에 幫手는 생략된다.


救護車 정식명칭이고,
急救車 으로 부르는 사람도 있고,
白車 가 평소 많이 부르는 명칭이다.
소방은 "소방을 부르다" "소방차를 부르다"
둘 다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경찰차를 부르다"라는 표현은 하지 않는다.

救護車 gau3 wu6 ce1 : 구급차. 앰블런스
急救車 gap1 gau3 ce1 : 구급차
白車 baak6 ce1 : 구급차
消防 siu1 fong4 : 소방
消防車 siu1 fong4 ce1 : 소방차
警察 ging2 caat3 : 경찰


홍콩은 전화가 모두 999이어서
아래 같은 표현도 많이 사용한다.

ko1 gau2 gau2 gau2
코 까우 까우 까우
call 999
999에 전화해




마치면서

救命
단어적으로 너무 달라서
비교하기도 애매하다.

둘은 말투에 따라서
긴급하거나 아닌 상황이된다.

救命의 경우 '살리다' 외에도
'현재 상황이 머리아프다'정도로도 사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따라 뜻이 다르다.

bong1돕다
救命gau3 meng6까우 멩살리다
幫手bong1 sau2뻥 싸우돕다
救護車gau3 wu6 ce1까우 우 체구급차
急救車gap1 gau3 ce1깝 까우 체구급차
白車baak6 ce1박 체구급차
消防siu1 fong4씨우 f엉소방
消防車siu1 fong4 ce1씨우 f엉 체소방차
警察ging2 caat3갱 찻경찰


TMI. 경찰 비율

한국은 10만명 당으로 통계해서
수치를 잘 못 이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계산하면 420:1 정도이다.

중국은 협경(協警)을 제외하면
경찰비율은 730:1 이다.
(協警: 집법권이 없는 경찰 보조원)

홍콩의 경찰비율은 239:1 이다.

중국은 외부에서는 대부분 교통경찰로
도움을 요청해도 대부분 관할이 아니라고
경찰서로 가라고 하는 편이다.

홍콩은 평소 순찰이 많아서
말 걸고 도움을 요청해도 된다.



TMI. 타지의 법

공권력 낭비
우선 건물 내에서 물건을 잃어버렸으면
당연히 건물 관리자에게 얘기해야 한다.
도난이나 길에서 잃어버린 것은 경찰이 찾는 편이다.

중국과 홍콩 모두
경찰력을 남용하는 것은 불법이다.
필요하면 부르는 것은 맞지만
사소한 일로 부르면 벌금,
거짓으로 부르면 감옥행이다.



... 대략 이틀에 한번 업로드를 하고 있는데,
2월이 되면서 날짜를 잘못 보고 늦게 업로드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