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gKaeBi
광둥어 - 직업 소개

광둥어 - 직업 소개

광둥어로 자기소개할 때 직업 얘기하기. 직업을 말하는 방식은 여러가지이다. 제일 간단하게 '저는 학생입니다.'의 방식이 있고, 그 외에 '저는 선생님을 하고 있습니다' '학교에서 일합니다' 등 방식으로 얘기할 수 있다.

광둥어

목차

  • 1. 들어가면서
  • 1.1. 1:1 대화 질문의 주어
  • 2. 직업 대답
  • 2.1. 我係~
  • 2.2. 做緊~
  • 2.3. 係做~嘅
  • 2.4. 기타 1. 我做~
  • 2.5. 기타 2. 喺~做嘢
  • 3. 마치면서
  • 3.1. 단어
  • 3.2. TMI 1. 銷售員
  • 3.3. TMI 2. 保險師
  • 3.4. TMI 3. 公務員
  • 3.5. TMI 4. 軍人
  • 3.6. TMI. 직업 명칭 및 호칭

들어가면서

광둥에선 소몰토크를 할 수 있는 상황이 많다.
모르는 사람끼리의 대화이다 보니,
각자가 어떤 사람인지 얘기를 하게된다.


1:1 대화 질문의 주어

질문 시, 를 붙여서 물어본다.
중국어는 질문에서 주어를 붙이이 않으면,
생략하는 느낌으로 상대를 무시하는 느낌이 있다.



직업 대답

<직업 질문편>

자신의 직업은 간단하게 말할 수 있다.
我係 + 직업

다른 방식도 여러가 있다.
질문편과 동일하게,
"나는 ㅇㅇ입니다."
"나는 '업계/업무'를 합니다."
"나는 ㅇㅇ을 하고 있습니다."
"나는 ㅇㅇ을 하는 사람입니다."
"나는 ㅇㅇ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등 표현 방식은 여러가지로 변경될 수 있다.


我係~

ngo5 hai6 hok6 saang1
으어 하이 헉 쌍
我係學生
저는 학생입니다.

제일 무난하고,
개인적으로 제일 추천하는 방식이다.

밑에 다른 방식은
어감을 어느 정도 이해해야
사용할 때 어색하지 않다.


做緊~

ngo5 zou6 gan2 lou5 si1
으어 쪼우 간 로우 씨
我做緊老師
교사를 하고 있습니다.

"하고 있다"이기 때문에
자발적인 느낌이 있다.
그래서 學生:학생 打工仔:노동청년 등,
원해서 하는 것이 아닌 것에 사용되지 않는다.


係做~嘅

ngo5 hai6 zou6 man4 zik ge3
으어 하이 쪼우 만 짹 게
我係做文職嘅
저는 사무실업무를 하는 사람입니다.

"는 ~하는 것이다"의 뜻이다.
사실상 앞뒤로 생략해서 어감을 변경할 수 있다.

我係文職 : 나는 사무직이다.
我做文職 : 난 사무직을 한다.
我係做文職 : 나는 사무업무를 한다.
我做文職嘅 : 나는 사무업무를 하는 사람이다.

직업을 동사와 명사로 다르게 쓰는 것으로
사실상 뜻으로 다른 점은 없다.

유일하게 뜻이 변화되는 조합은
我係文職嘅 : 나는 사무직인 사람인데
굳이 강조 서술 어기조사 를 사용하면
강조해서 무엇을 설명하려는 것으로 들린다.

한국어는 동사, 명사 모두 "은/는"을 사용해서
한국어 방식으로 생각하면 차이가 미묘하지만,
중국어는 기본 연계사(聯繫詞)가 동사고,
동사는 따로 연계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ex. 我返工 : 나는 출근하다
ex. *我係返工 - 틀린 문장

동사와 연계사를 같이 사용하는 경우는
동사라고 착각하는 형용 상태인 경우가 많다.
ex. 我係食咗飯 - 나는 밥 먹었다 = 나는 밥을 먹은 상태이다.
위의 我係做文職 또한, "나는 사무직을 하는 상태이다"로 볼 수 있다.


기타 1. 我做~

ngo5 zou6 ngan4 hong4
으어 하이 헉 쌍
我做銀行
저는 은행일을 합니다

ngo5 zou6 cit3 gai3
으어 하이 헉 쌍
我做設計
저는 디자인을 합니다.

직업이 아닌
직무이나 업계로 얘기하는 방식이다.


기타 2. 喺~做嘢

ngo5 hai2 caai1 gun2 zou6 je5
으어 하이 차이 군 쪼우 예
我喺差館做嘢
저는 경찰서에서 일합니다.

이번 편은 '직업' 위주로
장소, 업계, 직무는 우선 생략하겠다.



마치면서

단어

自我介紹zi6 ngo5 gaai3 siu6지 으어 가이 씨우자기소개 (하다)
職業zik1 jip6짹 입직업
學生hok6 saang1헉 쌍학생
研究生jin4 gau3 sang1인 까우 쌍연구생, 석사, 박사
老師lou5 si1로우 씨교사, 선생님
教授gaau3 sau6까우 싸우교수
文員man4 jyun4만 윈사무직
文職man4 zik1만 짹사무직
秘書bei3 syu1베이 쉬비서
會計師wui6 gai3 si1우이 까이 씨회계사
打工仔daa2 gung1 zai2따 꽁 자이노동 청년
設計師cit3 gai3 si1칫 까이 씨디자이너
建築師gin3 zuk1 si1긴 쪽 씨건축사
裝修師傅zong1 sau1 si1 fu2쫑 싸우 씨 f우인테리어 기사
程序師cing4 zeoi6 si1챙 쩌이 씨프로그래머
程序設計師cing4 zeoi6 cit3 gai3 si1챙 쩌이 칫 까이 씨프로그래머
編程員pin1 cing4 jyun4핀 챙 윈프로그래머
剪輯師zin2 cap1 si1진 찹 씨영상 편집자
剪接師zin2 zip3 si1진 집 씨영상 편집자
銷售員siu1 sau6 jyun4씨우 싸우 윈세일러, 영업자
銀行員ngan4 hong4 jyun4으안 헝 윈은행원
保險師bou2 him2 si1보우 힘 씨보험사
廚師cyu4 si1취 씨요리사
髮型師faat3 jing4 si1f앗 옝 씨미용사
化妝師faa3 zong1 si1f아 쩡 씨메이크업 아티스트
司機si1 gei1씨 게이운전기사
醫生ji1 sang1이 쌍의사
藥劑師joek6 zai1 si1역 짜이 씨약사
律師leot6 si1롯 씨변호사
公務員gung1 mou6 jyun4꽁 모우 윈공무원
運動員wan6 dung6 jyun4완 동 윈운동선수
演員jin2 jyun4인 윈배우, 연기자
歌手go1 sau2거 싸우가수
模特兒mou4 dak6 ji4모우 닥 이모델
警察ging2 caat3갱 찻경찰
消防員siu1 fong4 jyun4씨우 f엉 윈소방관
軍人gwan1 jan4꽌 얀군인

TMI 1. 銷售員

홍콩은 매장 종업원 인센티브가 높아서,
장사가 잘되는 매장은 일반 사무직보다 월급이 높다.

종업원, 영업자, 방문 판매자라는 뜻도 있다.
단어 한자 그대로 "판매하는 사람"이다.
영업 담당자는 業務員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TMI 2. 保險師

홍콩 친구 기피 대상 1위...
연말되면 영업액을 못 채웠다고
연락해오는 경우가 많아서 기피 대상이 되었다.

영업직이어서 월급이 천차만별이고,
출근 시간도 정해진게 없는 느낌이다.
하지만 복장 규정이 제일 엄격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TMI 3. 公務員

중국 공무원은 월급이 낮다.
대신 여러 혜택이 많다.
도로비이니, 세금이니, 병원이니, 부동산 세금이니, 일부 관광지 티켓 등...

홍콩 공무원은 월급이 높다.
사무직은 기본 25,000달러 정도부터 150,000달러까지 받는다.
경찰, 소방관 등 현장직은 보통 30,000달러부터 시작된다.
(현장직도 규정으론 25,000이지만 실제 투입될 때는 33,000정도이다)
대신 홍콩 공무원은 선물을 받을 수 없다.
가끔 공무원이 몇년 쓴 중고품을 받았다가 잡혀가는 뉴스를 종종 볼 수 있다.


TMI 4. 軍人

홍콩인 군인은 없다.
80년도에 모집이 끝나고 해체되었다.
현재 중국 주둔군이 있다.
애초에 홍콩이 중국인 것을 생각하면...
좀 이상한 이름이긴 하다.

하지만 퇴역군인은 당연히 있다.
80년도에 퇴역한 사람들도 잘 살아있다.


TMI. 직업 명칭 및 호칭

중국에서
직업명으로 사람을 부르는 것은 예의없는 행위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존칭의 개념 때문이다.
직업 자체는 존칭이 아니다.

일부 老師、教授、老闆 같은
자체로 존칭인 경우는 예외이지만,
司機、裝修工、櫃員 등으로
사람을 부르는 것은
듣는 사람을 기분 나쁘게 할 수 있다.

직업으로 부르고 싶으면
최소한 뒤에 존칭을 붙이거나
司機大佬、警察哥哥、髮型師姐姐...
앞에 존칭 량사를 사용한다.
呢位學生、各位營業員...

그래서 대부분
기술직은 師傅
종업원은 靚仔/靚女
금융, 여행사 등 사무직은 經理
으로 많이 부른다.


북방에서 느낌이 다르지만,
북방에서 또한 이런 직업으로 부르는 건
마찬가지로 예의없는 행위이다.

북방에서 식당에 가면
아저씨들이 "服務員!"하고
호칭하는 것을 볼 수 있지만
이 또한 예의없는 행위 이다.

그저 북방에서는 "예의없는 행위"이지
"무례한 행위"까지는 아니다.
하지만 듣는 사람이
기분이 좋지 않은 것은 동일하다.

종사자가
"원래 예의없는 사람들"로 생각하고
그냥 지나가는 경우가 많을 뿐이다.
이 것도 북방에 예의에 대해서 이해가 필요한데...
간단히 얘기하면,
북방에서는 너무 예의를 차리는 것은
오히려 재수없는 사람으로 여겨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