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둥어 성조 (聲調)
성조 기본개념
광둥어의 성조는 9성6조(九聲六調)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성조는 6개이고, 입성(入聲)이 있다.
성조의 뜻은 음높이가 변화하는 것을 뜻한다.
예시로 '도 → 도# → 레'의 변화와 비슷하다
모든 중국어(각 방언 포함)의 발음은 일반적으로 5개 음높이에서 성조를 만든다.
광둥어 성조
광둥어 성조 발음 예시
시작 음은 사람마다 다르다.
예시로,
평소음이 "도, 도#, 레, 레#, 미" 으로 가정하고,
각 음을 "1, 2, 3, 4, 5" 로 표기하면
보통화 발음은 [ 55, 35, 214, 51 ] 4개 성조이다.
광둥어 발음은 [ 55, 35, 33, 11, 13, 22 ] 6개 성조와 [5, 3, 2] 3개 입성이다.
입성의 성조는 1성, 3성, 6성의 짧은 음으로 음절표기는 1, 3, 6를 사용한다.

다른 광둥어 성조 표기법
홍콩어언학학회, 예일(현재), 만국음표, 광저우, 유석상
이상 학파는 숫자를 사용한다 : 1, 2, 3, 4, 5, 6
예일(전통) : ⎺╱ ╲h╱hh
황석릉 : │╱─│╱─
추가로 일부 학파는 j 의 음을 ㅈ 로 읽는다.
평소 문서에서도 월음이라고 하지 않으면, 보통 ㅈ의 발음이다.
이상 학파는 숫자를 사용한다 : 1, 2, 3, 4, 5, 6
예일(전통) : ⎺╱ ╲h╱hh
황석릉 : │╱─│╱─
추가로 일부 학파는 j 의 음을 ㅈ 로 읽는다.
평소 문서에서도 월음이라고 하지 않으면, 보통 ㅈ의 발음이다.
광둥어 입성 (入聲)
▼
上陰入, 下陰入, 陽入
입성은 한국어의 받침음과 비슷하다.
운미(韻尾)가 p, t, k 으로, 끝부분이 짧은 발음이다.
7, 8, 9성은 1, 3, 6성과 같은 조(調)다
1, 3, 6성으로 7, 8, 9성조를 표기한다.
평상거입 (平上去入)
▼
평상거입은 중국 발음 체계이다.
보통화의 성조는 음평(陰平), 양평(陽平), 상성(上聲), 거성(去聲)이다.
보통화는 입성이 없다.
입성(入聲)은 사성인 평상거입(平上去入)중 하나로, 짧고 빨리 닫는 소리를 얘기한다. <br />
훈민정음에도 사용된 것으로 보아 한국어도 평상거입이 있었을 것이다.
"ㄱ, ㄷ, ㄹ, ㅂ, ㅅ" 받침인 글자가 입성이다.(광둥어는 "ㄹ" 받침음은 없다)
한국어 성조
▼
한국어에 대한 오해 중 하나가 "한국어에 성조가 없다" 이다.
훈민정음에도 평상거입이 있었다.
옛날 한국어는 성조 체계가 있었던 것 같다.
현재 한국어도 성조는 있다. 모든 소리는 성조가 있다.
하지만 한국어는 성조가 달라도 의미가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하지만 "밥 먹었어" 와 "밥 먹었어?" 같은 말을 성조로 구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