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둥어 성조(聲調)
광둥어의 성조는 9성6조(九聲六調)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성조는 6개이고, 입성(入聲)이 있다. 성조의 뜻은 음높이가 변화하는 것을 뜻한다. 예시로 '도 → 도# → 레'의 변화와 비슷하다 모든 중국어(각 방언 포함)의 발음은 일반적으로 5개 음높이에서 성조를 만든다.
광둥어 성조
월병 | 표기 | 명칭 | 入聲 (입성) |
1 | IA | 陰平 (음평) | 上陰入 (상음입) |
2 | IIA | 陰上 (음상) | |
3 | IIIA | 陰去 (음거) | 下陰入 (하음입) |
4 | IB | 陽平 (양평) | |
5 | IIB | 陽上 (양상) | |
6 | IIIB | 陽去 (양거) | 陽入 (양입) |
陰平, 陰上, 陰去, 陽平, 陽上, 陽去, 上陰入, 下陰入, 陽入
성조의 정식명칭은 평상거입(平上去入)의 이름이다.
성은 총 9개가 있지만 성조는
1, 2, 3, 4, 5, 6 으로 표기한다.
광둥어 발음 중에서 모든 성조가 다 있는 음절은 매우 적다.
maa , si , ngaa 가 대표적인 모든 성조가 있는 음절이다.
성조의 정식명칭은 평상거입(平上去入)의 이름이다.
성은 총 9개가 있지만 성조는
1, 2, 3, 4, 5, 6 으로 표기한다.
광둥어 발음 중에서 모든 성조가 다 있는 음절은 매우 적다.
maa , si , ngaa 가 대표적인 모든 성조가 있는 음절이다.
광둥어 입성(入聲)
上陰入, 下陰入, 陽入
입성은 한국어의 받침음과 비슷하다.
운미(韻尾)가 p, t, k 으로, 끝부분이 짧은 발음이다.
7, 8, 9성은 1, 3, 6성과 같은 조(調)다
1, 3, 6성으로 7, 8, 9성조를 표기한다.
입성은 한국어의 받침음과 비슷하다.
운미(韻尾)가 p, t, k 으로, 끝부분이 짧은 발음이다.
7, 8, 9성은 1, 3, 6성과 같은 조(調)다
1, 3, 6성으로 7, 8, 9성조를 표기한다.
광둥어 성조 발음 예시
시작 음은 사람마다 다르다. 태생으로 낮거나 높을 수 있다.
예시.
음역이 '도, 도#, 레, 레#, 미'인 사람의 경우
각 음을 1, 2, 3, 4, 5로 표기하면
보통화 발음은 [ 55, 35, 214, 51 ] 4개 성조이다.
광둥어 발음은 [ 55, 35, 33, 11, 13, 22 ] 6개 성조와 [5, 3, 2] 3개 입성이다.
입성의 성조는 1성, 3성, 6성의 짧은 음으로 음절표기는 1, 3, 6를 사용한다.
예시.
음역이 '도, 도#, 레, 레#, 미'인 사람의 경우
각 음을 1, 2, 3, 4, 5로 표기하면
보통화 발음은 [ 55, 35, 214, 51 ] 4개 성조이다.
광둥어 발음은 [ 55, 35, 33, 11, 13, 22 ] 6개 성조와 [5, 3, 2] 3개 입성이다.
입성의 성조는 1성, 3성, 6성의 짧은 음으로 음절표기는 1, 3, 6를 사용한다.
평상거입(平上去入)
평상거입은 중국 발음 체계이다.
보통화의 성조는 음평(陰平), 양평(陽平), 상성(上聲), 거성(去聲)이다.
보통화는 입성이 없다.
입성(入聲)은 사성인 평상거입(平上去入)중 하나로, 짧고 빨리 닫는 소리를 얘기한다.
훈민정음에도 사용된 것으로 보아 한국어도 평상거입이 있었을 것이다.
'ㄱ, ㄷ, ㄹ, ㅂ, ㅅ' 받침인 글자가 입성이다.
(광둥어는 'ㄹ' 받침음은 없다)
보통화의 성조는 음평(陰平), 양평(陽平), 상성(上聲), 거성(去聲)이다.
보통화는 입성이 없다.
입성(入聲)은 사성인 평상거입(平上去入)중 하나로, 짧고 빨리 닫는 소리를 얘기한다.
훈민정음에도 사용된 것으로 보아 한국어도 평상거입이 있었을 것이다.
'ㄱ, ㄷ, ㄹ, ㅂ, ㅅ' 받침인 글자가 입성이다.
(광둥어는 'ㄹ' 받침음은 없다)
한국어 성조
한국어에 대한 오해 중 하나가 "한국어에 성조가 없다"이다.
훈민정음에도 평상거입이 있었다.
옛날 한국어는 성조 체계가 있었던 것 같다.
현재 한국어도 성조는 있다. 모든 소리는 성조가 있다.
하지만 한국어는 성조가 달라도 의미가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하지만 "밥 먹었어"와 "밥 먹었어?" 같은 말은 성조로 구분한다.
훈민정음에도 평상거입이 있었다.
옛날 한국어는 성조 체계가 있었던 것 같다.
현재 한국어도 성조는 있다. 모든 소리는 성조가 있다.
하지만 한국어는 성조가 달라도 의미가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하지만 "밥 먹었어"와 "밥 먹었어?" 같은 말은 성조로 구분한다.
다른 광둥어 성조 표기법
홍콩어언학학회, 예일(현재), 만국음표, 광저우, 유석상은 전부 숫자로 표기한다.
1, 2, 3, 4, 5, 6
예일(전통) : ⎺╱ ╲h╱hh
황석릉 : │╱─│╱─
1, 2, 3, 4, 5, 6
예일(전통) : ⎺╱ ╲h╱hh
황석릉 : │╱─│╱─